양치기 소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치기 소년은 양을 치는 소년이 심심풀이로 늑대가 나타났다고 거짓말을 하여 소란을 피우는 내용의 우화이다. 소년은 여러 번 거짓말을 반복하고, 결국 진짜 늑대가 나타났을 때 어른들은 소년의 말을 믿지 않아 양떼를 잃게 된다. 이 우화는 거짓말을 반복하면 진실을 말해도 믿음을 얻기 어렵다는 교훈을 담고 있으며, 개인적 신뢰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신뢰 문제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야기의 결말은 다양한 판본으로 존재하며, 늑대가 소년까지 잡아먹는 경우도 있다.
양치기 소년이 심심풀이로 "늑대가 나타났다!"라고 거짓말을 하여 소동을 일으킨다. 마을 어른들은 소년의 거짓말에 속아 무기를 들고 뛰쳐나가지만 헛수고로 끝난다. 소년은 이런 거짓말을 여러 번 반복한다. 결국 어느 날 진짜 늑대가 나타나 소년이 소식을 알렸지만, 어른들은 더 이상 소년의 말을 믿지 않았고 아무도 도우러 가지 않았다. 결국 소년의 모든 양은 늑대에게 잡아먹힌다.
이 우화의 핵심 교훈은 거짓말을 반복하면 진실을 말해도 믿음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평소 정직하게 행동해야만 타인으로부터 신뢰를 얻고, 필요한 순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이야기는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그리스어로만 기록되었고 15세기에 이르러서야 라틴어로 번역되었기 때문에, 하인리히 슈타인회벨의 우화집에 실린 이후에야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유로 이야기에는 합의된 제목이 없었다.[9]
이솝 우화의 원전은 소실되었기 때문에 판본에 따라 결말이 다르다. 늑대가 양만 잡아먹는 판본, 양치기 소년까지 잡아먹는 판본, 소년이 늑대에게 쫓기는 것으로 끝나는 판본 등이 있다.
2. 줄거리
일부 판본에서는 늑대가 소년까지 잡아먹는 결말도 있다.[4][5][6]
3. 교훈
그리스어 버전의 마지막에 제시된 교훈은 "이는 거짓말쟁이가 어떻게 보상받는지 보여준다. 진실을 말하더라도 아무도 그를 믿지 않는다"이다. 이는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가 그의 저서 《저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의견》에서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질문한 내용과 비슷하며, 현자는 거짓말을 하는 자들이 무엇을 얻는지 질문받았고, 그는 "그들이 진실을 말할 때 아무도 믿지 않는다"라고 대답했다.[7] 윌리엄 캑스턴 역시 그의 버전에서 비슷한 말로 끝맺는다.[8]
교사들은 이 우화를 진실을 말하는 것에 대한 경고로 사용해왔지만, 21세기 초 교육 실험에서 "늑대다!"라고 외친 소년 이야기를 읽는 것이 아이들의 거짓말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조지 워싱턴과 벚나무에 관한 이야기를 읽는 것은 이러한 가능성을 극적으로 감소시켰다.[11] 따라서, 묘사된 행동의 암시성과 긍정적인 결과가 어린아이들의 도덕 교육의 핵심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성인의 도덕적 행동을 다룰 때, 새뮤얼 크록설은 정치적 경고주의를 언급하며, "우리가 대중을 위한 상상의 위험에 대해 경고를 받아서 그 외침이 완전히 진부해질 때까지, 우리가 언제 실제 위험으로부터 우리 자신을 보호해야 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라고 묻는다.[12]
3. 1. 사회적 함의
이 우화는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사회 전체의 신뢰 문제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거짓말을 반복하면 진실을 말해도 믿어주지 않게 된다는 교훈은 평소 정직하게 생활해야 타인에게서 신뢰와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일본에서는 거짓말을 반복하는 사람을 "늑대 소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오보를 반복하여 신뢰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늑대 소년 효과"라고 한다. 예를 들어, 토사 재해가 예측되는 지역에서 피난 권고를 내려도 실제 재해가 발생하지 않으면, 정보의 신뢰도가 떨어져 주민들이 피난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는 사회 시스템 유지에 있어 정직과 신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12]
4. 역사
작가 제목 출판 연도 윌리엄 캑스턴 양을 치는 아이에 관하여 1484년 히에로니무스 오시우스 거짓말하는 소년 1574년 프랜시스 바로우 목동 소년과 농부들에 관하여 1687년 로저 레스트레인지 소년과 거짓 경보 1692년 조지 파일러 타운센드 양치기 소년과 늑대 1867년
에드워드 휴즈는 피터 웨스트모어의 시적 버전으로 어린이 목소리와 피아노를 위한 10개의 ''이솝 우화에서 따온 노래'' 중 첫 번째 곡으로 이 마지막 제목을 사용했다(1965).[9] 또한 스콧 왓슨(1964년 출생)의 "내레이터와 밴드를 위한 이솝 우화" (1999) 중 두 번째로 등장한다.[10]
교사들은 이 우화를 진실을 말하는 것에 대한 경고로 사용해왔지만, 21세기 첫 10년 동안의 교육 실험에서 "늑대다!"라고 외친 소년" 이야기를 읽는 것이 아이들의 거짓말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사했다. 그러나 조지 워싱턴과 벚나무에 관한 이야기를 읽는 것은 이러한 가능성을 극적으로 감소시켰다.[11] 따라서, 묘사된 행동의 암시성과 긍정적인 결과가 어린 아이들의 도덕 교육의 핵심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성인의 도덕적 행동을 다룰 때, 새뮤얼 크록설은 정치적 경고주의를 언급하며, "우리가 대중을 위한 상상의 위험에 대해 경고를 받아서 그 외침이 완전히 진부해질 때까지, 우리가 언제 실제 위험으로부터 우리 자신을 보호해야 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라고 묻는다.[12]
5. 결말의 차이
존 훅햄 프리어의 《다섯 살 아이들을 위한 우화》(1830),[4] 윌리엄 엘러리 레너드의 《이솝과 히솝》(1912),[5] 루이스 언터마이어의 1965년 시에서는 늑대가 소년까지 잡아먹는다.[6]
일본에서는 1593년(분로쿠 2년) 간행된 『ESOPO NO FABVLAS』(아마쿠사판 이솝 이야기)에 "와란베(어린이)의 양을 키운 일"로 수록되었는데, 늑대가 양을 잡아먹는 결말이다. 1872년 (메이지 5년) 후쿠자와 유키치 번역 『동몽교초』 제26장과 와타나베 아츠시 번역 『통속 이소프 이야기』 제30에서도 마찬가지로 늑대가 양을 잡아먹는다.
메이지 시대 문부성 초등학교 독본에는 늑대가 소년을 물어 죽이는 내용이 있었고[14], 영어 교과서 『윌슨씨 제2 리들 독 안내』(메이지 18년 3월 출판)에는 "늑대가 그를 잡았고, 거의 죽일 뻔했다"라고 되어 있다. 1910년(메이지 43년) 출판 『포켓 신역 이솝 이야기』 등 일부 아동 서적에서도 소년이 늑대의 먹이가 된다.[14] 만화 이솝 이야기에서는 소년이 늑대에게 쫓기는 것으로 끝난다.
5. 1. 대한민국의 경우
대한민국의 경우, 메이지 시대 문부성의 초등학교 독본에는 늑대가 소년을 물어 죽였다는 내용이 실려 있었고[14], 일부 아동 서적에서도 소년이 늑대의 먹이가 되는 결말이 나타난다[14].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늑대가 양을 잡아먹는 결말로 알려져 있다.
6. 유사한 이야기
주나라 유왕은 전혀 웃지 않는 여인 포사를 총애했다. 어느 날 실수로 적의 침입을 알리는 봉화가 올려졌고, 제후들은 헛수고를 하게 되었다. 그 모습을 보고 포사가 웃었다. 그 때문에 유왕은 여러 번 거짓 봉화를 올렸다. 이후 실제로 적의 침입이 있었을 때, 더 이상 아무도 봉화를 믿지 않았고, 유왕은 포사와 함께 적에게 사로잡혀 죽임을 당했다.[12]
7. 다양한 제목
이 우화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면서 다양한 제목으로 불린다. 하인리히 슈타인회벨의 우화집에 실린 이후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면서, 통일된 제목이 없었기 때문이다.
윌리엄 캑스턴은 "양을 치는 아이에 관하여"(1484)라고 제목을 붙였고,[9] 히에로니무스 오시우스는 "거짓말하는 소년"(1574)으로,[9] 프랜시스 바로우는 "목동 소년과 농부들에 관하여"(1687)로,[9] 로저 레스트레인지는 "소년과 거짓 경보"(1692)로,[9] 조지 파일러 타운센드는 "양치기 소년과 늑대"(1867)라는 제목을 사용했다.[9]
에드워드 휴즈는 피터 웨스트모어의 시적 버전으로 어린이 목소리와 피아노를 위한 10개의 ''이솝 우화에서 따온 노래'' 중 첫 번째 곡으로 "양치기 소년과 늑대"라는 제목을 사용했다.[9] 스콧 왓슨(1964년 출생)의 "내레이터와 밴드를 위한 이솝 우화"(1999) 중 두 번째로 등장한다.[10]
한국어 번역 제목도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양치기 소년과 늑대',[15] '늑대 소년',[15] '거짓말쟁이 양치기' 등이 있다.[15]
참조
[1]
웹사이트
151. The Boy Who Cried 'Wolf' (Laura Gibbs, translator)
http://mythfolklore.[...]
[2]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Cassel Publications
1992
[3]
웹사이트
wolf
http://www.askoxford[...]
OUP
2005-06-01
[4]
웹사이트
Poem: Fable 3, Of the Boy and the Wolf by John Hookham Frere
http://www.poetrynoo[...]
2023-04-04
[5]
웹사이트
Poem: The Shepherd-Boy and the Wolf by William Ellery Leonard
http://www.poetrynoo[...]
2023-04-04
[6]
웹사이트
The Boy Who Cried Wolf
https://raynhalfpint[...]
[7]
웹사이트
the life of Aristotle
http://classicpersua[...]
[8]
웹사이트
Of the child whiche kepte the sheep
http://mythfolklore.[...]
[9]
서적
Songs from Aesop's Fables
https://www.worldcat[...]
[10]
웹사이트
Aesop's Fables
https://www.jwpepper[...]
[11]
서적
Nurture Shock – New Thinking about Children
Grand Central Publishing
[12]
서적
The Fables of Aesop
https://books.google[...]
[13]
웹사이트
Fables exist in many versions
http://mythfolklore.[...]
[14]
웹사이트
『童話ってホントは残酷」という本の嘘について』
http://aesopus.web.f[...]
[15]
웹사이트
「おおかみがでたぞー」で有名なうそつき少年の話を読みたい。
https://crd.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18-08-03
[16]
웹사이트
子どもの頃に読んだイソップ童話「うそつきの子ども」の絵本について
https://crd.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12-03-21
[17]
웹사이트
「おおかみが来た」と嘘をついて人びとを困らせた少年が、本当におおかみが来たときに信じてもらえなかったという内容の作品名が知りたい。
https://crd.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11-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